컴퓨터 작업을 많이 하시는 분들께서 수시로 수정해야 할 자잘한 내용들을 눈에 잘 띄는 곳에 적어두고 싶다면 위젯 형태로 된 소프트웨어를 구해서 쓰는 것이 좋습니다. 물론 선택할 수 있는 도구의 종류 정도는 알아두는 것이 좋은데 제가 평소 활용하고 있는 툴과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툴을 소개하기 위한 글을 적었으니 혹시 메모지 프로그램이 필요했지만 선택에 어려움이 있었다면 아래의 글을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 완벽한 내용은 아니겠지만 선택에는 분명 도움이 될 것입니다!
저는 운영체제에서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스티커를 쓰고 있습니다. 7 이상의 버전부터 지원되고 있으니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[시작 버튼 + R]을 누르고 [stikynot]를 입력하면 실행이 됩니다. 혹시 해당 명령어로 실행이 안된다면 [stikynot.exe]를 적어주면 됩니다. 그럼 노란색 배경으로 된 위젯이 실행되며 텍스트를 바로 입력하며 사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.
스티커의 촌스러운 디자인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꺼려진다면 화면 공백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흰색을 맞춰주면 됩니다. 그럼 여전히 세련된 맛은 없지만 촌스러운 메모지 프로그램은 피할 수 있을 것입니다. 그리고 상자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고 사이즈를 변경할 수 있으며 기타 간단한 텍스트 형태도 조절할 수 있는데 어차피 구조가 간단해서 제가 자세한 정보를 언급하지 않아도 충분히 프로그램을 다룰 수 있을 것입니다.
추가적으로 별도로 다운로드를 해주어야 하는 툴도 소개를 하자면 보통 [에스]를 많이 씁니다. [smemo.co.kr]를 통해 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기기와 연동해서 쓸 수 있는 메모지 프로그램이죠. 그래서 스마트 기기에서도 내용 기록이 필요할 때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 여담으로 스킨도 바꿀 수 있는 툴로 알고 있는데 운영체제의 기본 도구 인터페이스가 싫을 때 선택을 하셔도 될 듯합니다.
기왕이면 에스를 다루는 방법과 연관된 정보도 언급을 하면 좋을 텐데 사실 저는 해당 메모지 프로그램을 써본 적이 없어서 구체적인 활용 팁을 알려드리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. 그래도 까다로운 형태의 도구가 아니니 활용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 예상합니다!